복지관소개 서브메뉴

커뮤니티복지정보 및 소식

복지정보 및 뉴스

언제나 함께하는 정다운 이웃 와치종합사회복지관
앞으로 더욱 발전하는 와치종합사회복지관이 되겠습니다.

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제목 통합공공임대주택 임대료, 소득 수준 따라 시세의 35~90% 차등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11-02 조회수 2824
- 국토부, 임대료 기준 행정예고…소득·자산 늘어도 계속 거주 보장


정부가 처음 도입하는 통합공공임대주택의 임대료가 소득 수준에 따라 주변 시세의 35%에서 90% 수준으로 차등화된다.

또 입주민의 소득과 자산이 입주자격을 초과하는 경우라도 일정 수준의 임대료를 추가로 부담하면 계속 거주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통합공공임대주택의 표준임대보증금 및 표준임대료 등에 관한 기준'을 오는 18일까지 행정예고한다고 1일 밝혔다.

정부는 앞서 지난 4월 입주기준을 확정했으며, 이번에 국민 의견을 반영해 임대료 체계를 확정할 계획이다.

통합공공임대주택 기본모델
- 통합공공임대주택 기본모델

[국토교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특히 1·2인 가구에 대해서는 입주 자격 중위소득 기준을 각각 20%포인트, 10%포인트씩 상향해 지원 범위를 넓혔다.

올해 기준 소득요건은 1인 가구(중위소득 170%)의 경우 310만원, 2인 가구(중위소득 160%)는 494만원이다. 3인 가구와 4인 가구(중위소득 150%)는 각각 597만원, 741만원이다.

임대료 상한을 뜻하는 표준임대료는 주변 전·월세 시세를 기준으로 정하되 실제 임대료는 입주민의 소득수준에 따라 시세의 35∼90% 범위에서 차등 결정된다.

소득 수준별 임대료를 보면 ▲ 중위소득 30% 이내 = 시세의 35% ▲ 중위소득 30∼50% = 시세의 40% ▲ 중위소득 50∼70% = 시세의 50% ▲ 중위소득 70∼100% = 시세의 65% ▲ 중위소득 100∼130% = 시세의 80% ▲ 중위소득 130∼150% = 시세의 90% 등이다.

임대보증금과 월 임대료 비율은 35대 65가 기본이며. 입주자가 희망하면 이 비율은 조정할 수 있다.

표준임대료는 매년 시세 변화를 반영해 갱신하지만, 갱신 계약 시 임대료 상승률은 5%를 넘지 못하도록 했다.

입주민이 거주 중 소득이 오르고 자산이 늘어 입주 자격을 초과하는 경우라도 계속 거주를 희망하면 강제 퇴거시키지 않고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다만 이때 일정 수준의 임대료를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통합공공임대주택은 자격을 갖추면 최대 30년 동안 거주할 수 있다.

김홍목 국토부 주거복지정책관은 "임대료 기준이 마련되면 통합공공임대주택 공급을 위한 제도적 기반은 모두 마련되는 것"이라며 "3∼4인 가구가 선호하는 중형주택도 새로 도입되는 만큼 무주택자들의 주거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올해 기준 중위소득 및 통합공공임대주택 소득요건

가구원수1인2인3인4인
’21년
기준 중위소득
1,827,831원3,088,079원3,983,950원4,876,290원
통합공공임대
소득요건
3,107,313원
(170%)
4,940,926원
(160%)
5,975,925원
(150%)
7,314,435원
(150%)


◇ 시세대비 임대료율

기준 중위소득0∼30%30∼50%50∼70%70∼100%100∼130%130∼150%
시세대비 임대료율0.350.400.500.650.800.90


김동규 기자(dkkim@yna.co.kr)


출처 : 연합뉴스(https://www.yna.co.kr/view/AKR20211101113300003?section=search)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작성자 내용 비밀번호
이전글 만 3세(2017년생) 가정양육아동의 안전, 빈틈없이 확인한다
다음글 ‘임신 근로자’가 더 건강하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일터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리스트
게시물 수 : 175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75 학교 밖 청소년 건강도 챙기고 상품권도 받고!   관리자 25.06.13 69
174 2025년 여름철 취약계층 보호 대책 마련   관리자 25.06.09 58
173 “다시 일할 수 있는 인생 2막” 고용노동부, 중장년 재취업 훈련 확대   관리자 25.05.20 293
172 ‘거점형 돌봄기관'으로 수요 맞춤형 유아 돌봄 제공한다   관리자 25.05.12 167
171 2025년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지원받고 미래의 꿈 키워요   관리자 25.04.22 290
170 200만 자원봉사자와 함께 체계적으로 위기가구 찾는다   관리자 25.04.10 225
169 사회보장기본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관리자 25.03.18 267
168 자립을 희망하는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우리의 이웃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기반 마련   관리자 25.03.04 213
167 임신초기 유산·사산 휴가 5→10일로 확대, 임신·출산·육아 지원 강화   관리자 25.02.19 332
166 무연고자가 생전 장례방법 지정…부산시, 장례주관자 사업 확대   관리자 25.02.14 304
1 [2] [3] [4] [5] [6] [7] [8] [9] [10]   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