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관소개 서브메뉴

커뮤니티복지정보 및 소식

복지정보 및 뉴스

언제나 함께하는 정다운 이웃 와치종합사회복지관
앞으로 더욱 발전하는 와치종합사회복지관이 되겠습니다.

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제목 ‘임신 근로자’가 더 건강하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일터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11-26 조회수 3037
- ‘임신 근로자 육아휴직 제도’ 및 ‘출·퇴근 시간 변경 제도’ 시행-

고용노동부(장관 안경덕)는 임신 근로자 보호를 위해 11월 19일부터 ‘임신 근로자 육아휴직 제도’ 및 ‘출·퇴근시간 변경 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임신 근로자 육아휴직 제도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11월 19일부터 ’임신 근로자‘도 육아휴직이 가능하게 됐다.
그간의 육아휴직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근로자만 사용할 수 있어 임신 근로자들이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휴직이 필요한 경우 등에도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임신 중 육아휴직을 사용하려는 근로자는 휴직 개시 예정일의 30일 전까지 사업주에게 신청해야 하고, 임신 중 육아휴직은 근로자들이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분할 횟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임신 중에 사용한 육아휴직 기간에 대해서도 고용보험기금을 통해 "고용보험법"에 따른 육아휴직급여를 지급할 예정이다.
아울러, 육아휴직을 부여한 사업주의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육아휴직등 부여 지원금‘도 지원한다.

임신 근로자도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유산.사산 등의 위험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하고, 경력단절 예방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임신 근로자 출.퇴근 시간 변경 제도
"근로기준법" 개정에 따라 11월 19일부터 임신 근로자는 1일 소정근로시간을 유지하면서 출.퇴근 시간을 변경할 수 있게 됐다
그간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 있는 여성 근로자는 근로시간 단축(1일 2시간) 제도를 활용할 수 있었으나, 근로시간 단축을 활용하지 못하는 임신 근로자(임신 12주 이후∼35주 이내)는 출퇴근 시간 변경이 어려워 혼잡한 대중교통 이용으로 건강상 피해 발생의 우려가 있었다.

출.퇴근시간을 변경하려는 근로자는 업무시간 변경 개시 예정일 3일 전까지신청서에 임신 사실 확인을 위한 의사의 진단서를 첨부하여 사용자에게 제출해야 하고,사업주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임신 중인 근로자의 출·퇴근시간 변경을 허용해야 한다.
11월 19일부터 임신 기간과 상관없이 출퇴근 시간 변경 제도를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임신 근로자의 건강보호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황보국 통합고용정책국장은 “‘임신 근로자 육아휴직 제도’와 ‘출퇴근 시간 변경 제도’의 시행을 통해 임신 근로자의 건강을 지키고, 경력단절의 걱정을 덜어줌으로써 ‘행복한 임신, 건강한 출산’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라고 밝히고, “근로자들이 육아휴직 등 모성보호 관련 제도들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적극적으로 안내하고, 사업주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지원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문  의:  여성고용정책과  윤종호 (044-202-7477),  김대근 (044-202-7471)


출처 : 고용노동부(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2925)

download : 첨부파일다운11.18_임신_근로자_육아휴직_제도_시행(여성고용정책과)7.hwp 첨부파일다운11.18_임신_근로자_육아휴직_제도_시행(여성고용정책과)7.pdf
작성자 내용 비밀번호
이전글 통합공공임대주택 임대료, 소득 수준 따라 시세의 35~90% 차등화
다음글 영아기 첫만남꾸러미(영아기 집중투자) 지원사업 안내
리스트
게시물 수 : 175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75 학교 밖 청소년 건강도 챙기고 상품권도 받고!   관리자 25.06.13 69
174 2025년 여름철 취약계층 보호 대책 마련   관리자 25.06.09 59
173 “다시 일할 수 있는 인생 2막” 고용노동부, 중장년 재취업 훈련 확대   관리자 25.05.20 293
172 ‘거점형 돌봄기관'으로 수요 맞춤형 유아 돌봄 제공한다   관리자 25.05.12 167
171 2025년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지원받고 미래의 꿈 키워요   관리자 25.04.22 290
170 200만 자원봉사자와 함께 체계적으로 위기가구 찾는다   관리자 25.04.10 225
169 사회보장기본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관리자 25.03.18 267
168 자립을 희망하는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우리의 이웃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기반 마련   관리자 25.03.04 213
167 임신초기 유산·사산 휴가 5→10일로 확대, 임신·출산·육아 지원 강화   관리자 25.02.19 332
166 무연고자가 생전 장례방법 지정…부산시, 장례주관자 사업 확대   관리자 25.02.14 304
1 [2] [3] [4] [5] [6] [7] [8] [9] [10]   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