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관소개 서브메뉴

커뮤니티복지정보 및 소식

복지정보 및 뉴스

언제나 함께하는 정다운 이웃 와치종합사회복지관
앞으로 더욱 발전하는 와치종합사회복지관이 되겠습니다.

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제목 육아휴직 급여, 내년부터 월 최대 250만 원으로 인상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12-17 조회수 315

정부는 1217() 국무회의에서 지난 6.19. 발표한 저출생 대책의 후속 조치 및 제도 개선을 위해 ?고용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등 고용노동부 소관 3개 대통령령안(시행일 ’25.1.1.)을 심의·의결했다.

 

육아휴직 급여인상, 중소기업 지원확대(고용보험법 시행령)

 

육아휴직 급여가 대폭 인상된다. 현재 육아휴직급여는 월 150만원이고, 이 중 25%는 복귀 6개월 후에 지급하고 있다. 내년부터는 월 최대 250만원까지 지원하고, 사후지급 없이 육아휴직기간 중 전액 지급한다.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생후 18개월 이내) 첫 달 상한액 인상(200만원250만원)

한부모 근로자 첫 3개월 육아휴직 급여 인상(250만원300만원)

 

이번 육아휴직 급여 인상으로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12개월 사용할 경우, 전체 급여액은 총 1,800만원에서 총 2,310만원으로 510만원 증가하게 된다. 또한,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생후 18개월 이내)를 활용하는 부부가 1년간 육아휴직 시, 각각 2,960만원씩 부부 합산 5,920만원의 급여를 지원받을 수 있다.

 

중소기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부 지원도 확대된다. 내년부터는 출산휴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뿐만 아니라 육아휴직으로 자리를 비운 경우에도 대체인력 지원금을 지원하고, 육아휴직에 대한 업무분담 지원금도 신설한다.

 

또한, 중소기업 사업주가 근로자를 1년간 육아휴직을 보내고 대체인력을 채용하면 정부가 최대 1,440만원(120만원, 1년간)을 지원한다. 일부 지자체*는 대체인력으로 채용된 근로자에 대해서 연간 최대 200만원을 추가 지원한다.

 

* (전북·경북·광주·울산) 연간 최대 200만원 / (서울) 연간 최대 120만원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통합신청(남녀고평법 시행령)

 

근로자의 육아휴직 신청 부담을 덜기 위해 출산휴가(배우자 출산휴가 포함) 신청 시 육아휴직도 같이 신청할 수 있게 개선된다.

 

또한,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신청하면 사업주는 14일 이내에 서면으로 허용 의사를 표시해야 하고, 사업주 의사표시가 없으면 근로자가 신청한대로 육아휴직을 사용토록 개선하여 법의 실효성을 높인다.

 

고액, 상습체납자 공개 제도 실효성 제고(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시행령)

 

고용·산재보험료 고액·상습 체납자의 인적 사항을 공개할 때, 업종·직종을 추가하여 공개 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한다.

 

출처 : 고용노동부(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7353)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작성자 내용 비밀번호
이전글 신속·정확한 복지급여 지급 위한 보건복지부-금융권 민·관 협력체계 강화
다음글 2025년 1월부터 장애인연금 최대 43만 2,510원 지급
리스트
게시물 수 : 175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75 학교 밖 청소년 건강도 챙기고 상품권도 받고!   관리자 25.06.13 69
174 2025년 여름철 취약계층 보호 대책 마련   관리자 25.06.09 59
173 “다시 일할 수 있는 인생 2막” 고용노동부, 중장년 재취업 훈련 확대   관리자 25.05.20 293
172 ‘거점형 돌봄기관'으로 수요 맞춤형 유아 돌봄 제공한다   관리자 25.05.12 167
171 2025년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지원받고 미래의 꿈 키워요   관리자 25.04.22 290
170 200만 자원봉사자와 함께 체계적으로 위기가구 찾는다   관리자 25.04.10 225
169 사회보장기본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관리자 25.03.18 267
168 자립을 희망하는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우리의 이웃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기반 마련   관리자 25.03.04 213
167 임신초기 유산·사산 휴가 5→10일로 확대, 임신·출산·육아 지원 강화   관리자 25.02.19 332
166 무연고자가 생전 장례방법 지정…부산시, 장례주관자 사업 확대   관리자 25.02.14 304
1 [2] [3] [4] [5] [6] [7] [8] [9] [10]   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