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관소개 서브메뉴

커뮤니티복지정보 및 소식

복지정보 및 뉴스

언제나 함께하는 정다운 이웃 와치종합사회복지관
앞으로 더욱 발전하는 와치종합사회복지관이 되겠습니다.

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제목 임신초기 유산·사산 휴가 5→10일로 확대, 임신·출산·육아 지원 강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2-19 조회수 173

남녀고용평등법시행령 일부개정령안 등 육아지원 3법 시행(2.23.) 관련 대통령령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고용노동부는 211() 국무회의에서 지난 1022일 공포된 육아지원 3법의 후속 조치를 위해 남녀고용평등법, 고용보험법, 근로기준법대통령령안(시행일 ’25.2.23.)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 임신초기 유산·사산휴가 기간 확대(근로기준법 시행령)

 

임신초기(11주 이내) 유산·사산휴가가 5일에서 10일로 확대된다. ‘22년 기준 유산·사산 건수가 89,457건으로 고령 임신부 증가 등에 따라 출생아 수 대비 유산·사산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임신초기에 유산·사산한 경우에도 여성이 건강회복을 위한 충분한 휴식 기간을 가질 수 있도록 휴가 기간을 확대한다.

 

* 유산·사산 건수/출생아 수 비율: ’1428.60%‘1730.35%’2035.21%‘2235.90%

 

<개정 전후 유산·사산휴가 기간 비교>

 

개정 전

개정후

 *   ~ 11: 유산, 사산일로부터 5일까지 

*   ~ 15: 유산, 사산일로부터 10일까지

 * 12~ 15: 유산, 사산일로부터 10일까지

16~ 21: 유산, 사산일로부터 30일까지

 * 16~ 21: 유산, 사산일로부터 30일까지

22~ 27: 유산, 사산일로부터 60일까지

 * 22~ 27: 유산, 사산일로부터 60일까지

28 이상: 유산, 사산일로부터 90일까지

 * 28 이상: 유산, 사산일로부터 90일까지

 * 난임치료휴가 급여 신설(고용보험법 시행령)

 

난임치료휴가가 연간 3일에서 6일로 확대되고, 중소기업 근로자에게는 난임치료휴가 급여가 신설됨에 따라 신청 등 세부사항을 규정했다.

 

난임치료휴가는 매년 6일의 휴가(유급 2, 무급 4)를 사용할 수 있으며, 1일 단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 이 중 유급인 최초 2일에 대해서는 정부가 난임치료휴가 급여를 지원하여 휴가 사용에 따른 부담을 덜어준다.

 

 * 예술인·노무제공자 출산전후급여 및 유산·사산급여 확대(고용보험법 시행령)

 

고용보험에 가입한 예술인과 노무제공자도 미숙아 출산 시 근로자와 동일하게 100일간(기존 90) 출산전후급여를 받을 수 있다. 임신초기 유산·사산급여 기간도 근로자와 같이 10일로 확대된다.

 

 * 육아휴직 기간 연장(남녀고용평등법 시행령)

 

현재 육아휴직 기간은 자녀 1명당 부모 각각 1년 사용할 수 있으나, 주변에서 도움을 받기 어려운 경우에는 휴직 기간이 짧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에 육아휴직 기간이 1년에서 16개월로 연장되고, 연장된 기간도 육아휴직급여가 최대 160만원 지원된다.

 

다만, 기간 연장으로 인한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부모 맞돌봄을 활성화하기 위해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했거나, #한부모 가정이거나, #중증 장애아동의 부모인 경우에 기간 연장이 가능하다. 연장된 기간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업주에게 관련 증빙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

 

 <육아지원 3>223일 시행됨에 따라 임신·출산·육아기에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가 대폭 확대되어 일하는 부모의 출산·육아 부담을 더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달라지는 일·육아 양립 지원제도의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누리집(https://www.moel.go.kr)과 일생활균형 누리집(https://www.worklife.kr)<25년 확 달라지는 육아지원제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출처 : 고용노동부(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7495)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작성자 내용 비밀번호
이전글 무연고자가 생전 장례방법 지정…부산시, 장례주관자 사업 확대
다음글 -
리스트
게시물 수 : 167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67 임신초기 유산·사산 휴가 5→10일로 확대, 임신·출산·육아 지원 강화   관리자 25.02.19 173
166 무연고자가 생전 장례방법 지정…부산시, 장례주관자 사업 확대   관리자 25.02.14 185
165 청소년 장애인도 장애인등록증으로 편리하게 지하철 이용하세요   관리자 25.01.14 170
164 2025년 1월부터 장애인연금 최대 43만 2,510원 지급   관리자 25.01.06 151
163 육아휴직 급여, 내년부터 월 최대 250만 원으로 인상   관리자 24.12.17 196
162 신속·정확한 복지급여 지급 위한 보건복지부-금융권 민·관 협력체계 강화   관리자 24.12.16 135
161 한파 대비 복지위기가구 발굴,지원 강화   관리자 24.11.22 158
160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실시   관리자 24.11.11 125
159 청년층 정신건강검진 확대   관리자 24.10.25 228
158 육아휴직 급여인상 등 시행령 입법예고   관리자 24.10.12 177
1 [2] [3] [4] [5] [6] [7] [8] [9] [10]   뒤로